Untitled

https://www.figma.com/file/7W2UdtdOhIfZjpF1giSlED/Delivus-workflow?node-id=128%3A2

[Product Board Guide]

  1. 프로덕트 보드를 통해서 프로덕트의 방향성과 속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2. Scope이나 Spec이 완료된 마일스톤은 Pending에 등록된다.
  3. 스프린트에 들어갈 피쳐는 스프린트 플래닝 미팅을 통해 Chosen으로 옮기면서 스프린트 사이클에 들어간다.(크기에 따라 두개 이상의 티켓으로 쪼개질 수 있다.)
    1. Chosen에 옮겨질 때는 모든 필드가 입력된 상태여야한다.
  4. 스프린트가 시작되면 해당 마일스톤 티켓을 In Progress로 옮긴다.
  5. 개발이 완료되어 테스트 단계에 있는 티켓은 codeReview에 위치한다.
  6. Sprint 보드나 보드에서 Stage에 올라가면 자동으로 Deploying에 옮겨진다.
  7. 해당 스프린트의 티켓들이 최종 배포가 되면 Released 섹션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며 Product | Archive 보드의 Released섹션에 자동 추가된다.
  8. 티켓들이 Released되면 PM or PO가 매뉴얼리 Mark Compete 한다.
  9. 다른 보드에서 추가되는 프로덕트 카드는 Pending 섹션에 등록된다.
    1. Pending에는 Product보드에서 바로 생성되는 카드는 등록되지 않는다.

[Product Archive Guide]

  1. 티켓이 최종 배포가 되면 Released 섹션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며 Product | Archive 보드의 Released섹션에 자동 추가된다.
  2. Product Archive보드를 통해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다.

[Pro | Sprint Board Guide ]

  1. Sprint 보드는 매 스프린트마다 Pro | Sprint | <name> 보드를 복제하여 사용한다.

    1. Sprint name은 Sprint Name Generator를 사용한다

    Random Pokemon Generator | Pokemon Randomizer and Finder Tool

  2. Sprint 보드에 티켓 생성 시 Product 보드에 자동으로 추가된다.

  3. Chosen에 있는 티켓들은 스펙 미팅을 통해 필요한 subtask로 쪼개고 각 개인의 퍼스널 보드에 어사인한다.

    1. 어사인을 한다는 것은 해당 티켓을 퍼스널 보드에 프로젝트로 추가한다는 것이다 .
  4. 티켓이 Chosen으로 이동 시에는 아래 파라미터들이 다 입력이 된 상태여야 한다.